도서 관리를 사서나 관리자의 입장에서만 본다면 설치가 어렵게 느껴지는 웹 응용 보다는 간단한 설치로 기능을 사용해 볼 수 있는 데스크 탑 응용이 유용하겠지만 정보를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면 서버 역할을 할 한군데만 약간의 노력으로 시스템을 설치하고 모든 사람이 웹 브라우저로 관리자 및 이용자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웹 응용이 적절할 것이다. 본 포스팅에서는 여러 사용자가 웹 시스템을 통해서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도서 관리 프로그램으로 OpenBiblio를 선택하여 윈도우에 기반 시스템과 함께 간단하게 설치 하는 과정을 설명할까 한다.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이 크게 3단계로 이루어진다. 기반 시스템 설치(웹서버 및 DBMS - XAMPP설치로 해결) 도서 관리 ..
도서관 사서로 근무했던 경험이 있거나, 문헌정보학과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무사히 무료 도서 관리 프로그램을 설치했더라도 무엇부터 손대야 할지, 모든 기능을 꼭 사용해야 하는 건지, 중간 중간 나오는 이상한 용어들은 무엇인지 도통 답답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배경하에 무료 도서 관리 프로그램 OpenBiblio를 중심으로 주요한 업무 처리 흐름(Process)과 용어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작은 도서관이라도 도서관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관리해야할 정보를 보면 아래와 같은데 도서관 자체의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등) 목록(Catalog)과 사본(Copy) 정보 회원 정보 를 기반으로 책의 대출/반납 관리, 목록의 온라인 검색 서비스 제공, 도서관 간의 정보 교환 등이 이루어 진다. 도서관 정보 설..
- Total
- Today
- Yesterday
- 오픈소스도서관리
- 국립중앙도서관
- Marc
- z39.50
- Intouch Alarm
- 마크 작성기
- SRU
- OpenBiblio _install
- MARC21
- 항온항습기
- ISBN
- 감진슬라이드
- Integrated Library Management System
- 서버랙
- 항온항습랙
- 에어컨
- emilda
- OpenBiblio
- EMP랙
- KOSRA
- XAMPP
- 항온항습방진랙
- KOLASYS
- MARC32
- GOLDIS
- inTouch
- KORMARC
- koha
- Yaz
- hm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